라벨이 정책자금 확인인 게시물 표시

2025년 소상공인 지원금, 내 업종도 해당될까? 대상 업종 최신 가이드

[2025년 기준으로 소상공인 지원금 대상 업종이 일부 조정되었습니다. 사업자등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지원금 대상은 아니며, 업종 코드·고용 규모·법적 제한 여부를 모두 따져봐야 합니다.] 소상공인 지원금 대상 업종 – 기본 조건 세 가지 소상공인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합니다: 상시 근로자 수 : - 제조업, 건설업, 운수업: **10인 미만** - 도소매업, 음식업, 서비스업: **5인 미만** 사업 목적이 영리여야 함 : 비영리법인·종교단체 제외 업종 코드가 정책상 인정 업종이어야 함 대표 지원 대상 업종 예: 음식점업(일반, 휴게), 제과점, 커피숍 통신판매업,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판매자 미용실, 네일숍, 세탁소, 사진관 인쇄소, 수제공방, 소형 공장 배달전문 외식업, 공유주방 → 정책자금 업종 확인 시스템 에서 직접 조회 가능 소상공인 지원금 제외 업종 – 법령 기준 명확 정리 다음 업종은 ‘소상공인 정책자금 제외 업종’으로 명시되어 있어 지원이 불가합니다: 유흥·향락업 : 유흥주점, 무도유흥주점, 안마시술소, 성인 게임장 금융·부동산·보험 : 대부업, 보험업, 부동산임대업 유해물질 취급 : 담배 도·소매, 전자담배 전문점, 도박기기 유통 비영리·공공법인 : 종교단체, 사회복지법인, 교육재단, 의료법인 등 실제 사례: 유튜브 채널 운영자라도 사업자등록이 없으면 제외 공유오피스 운영업 중 임대소득 중심은 부동산임대로 분류 라이브 카페는 ‘유흥업’으로 코드 분류 시 지원 불가 → 2024 정책 제외업종 고시문 참고 지자체 및 특수 업종 – 예외적 대상 포함 여부 아래는 예외적으로 지원 가능한 특수 업종들입니다. 단, 각 지자체 정책 또는 중앙부처 공고 기준에 따라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 안마원 (자격 및 시설 등록 요건 충족 시) SNS 마켓, 1인 크리에이터 (통신판매업 + 사업자등록 필수) 푸드트럭, 노점형 영업자 (지자체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