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월드컵 포트인 게시물 표시

2026 월드컵 조편성 대공개: 그룹 A부터 L까지, 어떤 방식으로 나뉘나?

2026년 월드컵은 전 세계 축구의 지형을 바꾸는 대회다. 총 48개국이 본선 무대에 오르며, 이는 조편성 방식 또한 완전히 새롭게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8개 조 체제를 넘어 12개 조(A~L) 체제가 도입되며, 포트 구성, 대륙별 분포, 와일드카드 룰까지 고려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2026 월드컵 조편성의 세부 메커니즘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한다. 조편성 구조: 12개 그룹, 48개국의 새로운 체제 기존보다 16개국이 늘어난 48개국은 다음 방식으로 조편성된다: - 4개국씩 총 12개 조로 편성(A~L) - 조별 상위 2개국(24개국) + 3위 중 성적 좋은 8개국 → 총 32강 진출 - 조별리그는 3경기씩, 총 72경기 진행 예정 와일드카드 시스템은 3위 팀 간 골득실, 다득점, 승점 등을 비교해 순위를 가린다. 대회 형식 상세 보기 포트 구성: FIFA 랭킹 기반 4단계 분류 참가국은 FIFA 랭킹을 기준으로 Pot 1~4로 나뉘며 다음 기준을 따른다: - Pot 1: 개최국 3개국(미국, 멕시코, 캐나다) + 상위 랭킹 9개국 - Pot 2~3: 중위권 24개국 - Pot 4: 하위 6개국 + 유럽 플레이오프 4팀 + 대륙 간 플레이오프 2팀 포트 순서대로 조편성이 진행되며, 동일 포트 팀은 같은 조에 들어갈 수 없다. 포트 구성 기준 보기 조편성 규칙: 대륙 분산과 시드 자동 배정 공정한 대회를 위해 FIFA는 다음 규칙을 조편성에 적용한다: - 같은 대륙 국가 한 조 내 중복 배정 불가 (유럽은 최대 2팀 허용) - 개최국은 A~D조의 톱 시드로 자동 배정됨 - 플레이오프 승자는 추첨 시 ‘슬롯명’(CPO/UEFA PO 등)으로 포함 이러한 기준 덕분에 조별 다양성과 흥미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 FIFA 조추첨 공식 정보 추첨 및 대회 주요 일정 📅 조추첨 예정일: 2025년 12월, 미국 내 개최 (도시 미정) 🏟 개막전: 2026년 6월 11일, 멕시코시티 아즈테카 스타디움 🗓 조별리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