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솔로 25기 영철 성폭행 사건, 피해자의 마음을 누가 돌볼 것인가
사건 개요: 연애 예능 속 출연자의 성폭력
2025년 6월 21일, 서울 마포구에서 '나는 솔로' 25기 출연자 박재홍(영철)은 20대 여성을 심신미약 상태에서 성폭행한 혐의(준강간)로 긴급 체포됐다. 6월 23일에는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발부되며 사건은 공론화되었다. 수사 결과는 피해자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범죄였으며, 이는 방송계 전반의 도덕성과 안전 기준을 다시 묻는 계기가 되었다.
피해자 정신건강, 시스템이 뒷받침하고 있는가?
성폭력 피해자는 불면증,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의 후유증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피해자가 치료비를 감당해야 하고, 주변으로부터 받는 2차 가해에 고통받는다. 이번 사건처럼 방송 출연자에게 피해를 입은 경우, 제작진과 방송사가 적극적인 정신건강 치료 지원 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하지만, 현재 방송계는 이 부분에서 사실상 무방비 상태다.
방송사는 정신건강 보호 체계를 갖춰야 한다
박재홍은 사건 이후 SNS를 비공개로 전환하고 모든 외부 소통을 차단했다. 피해자는 이런 상황에서도 온라인에서의 추측과 댓글로 추가적인 고통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방송사는 출연자 범죄 발생 시, 피해자에게 법률 지원은 물론, 심리상담, 정신과 치료, 장기적 회복 플랜을 제공하는 '피해자 지원팀'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시청자에게는 가해자의 통편집보다 피해자 중심 서사를 전달하며, 올바른 인식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자주 묻는 질문
Q1. 성폭력 피해자의 정신건강 후유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공황장애, 우울증, 불면증, 대인기피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회복에는 장기간의 심리치료가 필요하며, 적절한 보호 환경이 매우 중요합니다.
Q2. 방송사는 피해자 보호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A2. 전문 심리상담 및 치료비 전액 지원, 익명 보장 시스템, 2차 가해 대응 모니터링, 온라인 명예훼손 대응 팀 운영 등 피해자 중심 정책이 시급합니다.
Q3. 시청자는 어떤 행동으로 피해자 보호에 기여할 수 있나요?
A3. 피해자 신상 추측 중단, 관련 루머 유포 방지, 피해자 중심 시각의 콘텐츠 소비, 피해자 연대 메시지 확산 등 심리적 지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